최근 발표된 통계와 기사들을 보면, 세계 결혼율은 단순히 ‘감소’라는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미국의 주요 연구에 따르면, 20~30대 신규 결혼 건수는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팬데믹 동안 미뤘던 결혼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반등세가 나타난 것이죠.
하지만 장기적인 흐름을 보면, 전 세계 결혼율은 꾸준히 낮아지고 있습니다. 1970년 전 세계 여성의 약 69%가 결혼 또는 동거 상태였지만, 2024년에는 약 64%로 줄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혼인율은 세계적으로도 최저 수준에 속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혼인 건수는 19만 3천 건으로, 인구 1,000명당 혼인율은 3.7건에 불과했습니다. 이는 OECD 평균(약 4.5건) 보다 낮고, 불과 10년 전만 해도 6건을 넘던 수치에서 급격히 줄어든 결과입니다. 한국 사회는 이제 “결혼하지 않는 시대”라는 말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결혼은 다시 시작되었다?”
세계적으로 보면 팬데믹 이후 결혼이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양상이 조금 다릅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예식이 연기된 사례는 있었지만, 그 이후에도 결혼 건수는 크게 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팬데믹은 한국 사회에서 ‘결혼하지 않아도 된다’는 인식을 강화시켰습니다.
· 2020년: 코로나로 예식 취소·연기 다수
· 2021년~2022년: 온라인 웨딩, 스몰웨딩 시도
· 2023년 이후: 미국·유럽은 반등, 한국은 정체
특히 한국에서는 예식 비용 부담, 주거 문제, 불안정한 일자리 등이 결혼을 망설이게 하는 주된 이유로 꼽힙니다. 세계와 달리,팬데믹 이후 반등보다는 ‘더 낮은 혼인율의 고착화’라는 결과로 이어진 셈입니다.
“긴 시간의 흐름 속, 전 세계 결혼율은 어떻게 변했나?”
전 세계적으로 혼인율은 하락 추세입니다. OECD 대부분의 국가는 인구 1,000명당 혼인율이 4~5건 수준인데, 한국은 이보다도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 1970년: 전 세계 여성의 약 69%가 결혼 또는 동거 2024년: 약 64%로 감소
· 한국 1990년대: 혼인율 인구 1,000명당 9건 이상 한국
· 2023년: 3.7건 (역대 최저)
한국은 불과 한 세대 만에 혼인율이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한 나라입니다. 이는 단순한 문화적 변화뿐만 아니라, 주거비 상승·고용 불안·교육비 부담 같은 구조적 요인이 겹쳐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한국의 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OECD 평균보다 높습니다. 이처럼 만혼·비혼이 결혼율 하락과 맞물려 저출산 문제로 직결되고 있다는 점이 국제 사회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결혼 밖의 삶’이 선택지가 되다 – 한국 사회의 비혼과 동거”
세계적으로 동거와 사실혼 가구가 늘고 있는 가운데,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아직 법적 제도 보장은 미흡하지만, 동거 가구·비혼 생활자·딩크족(자녀 없이 사는 맞벌이 부부)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유럽: 비혼 출산율 50% 이상
· 미국: 동거 가구 급증
· 한국: 법적으로는 비혼 출산이나 동거가 불안정하지만, 사회적 수요 증가
특히 한국에서는 “결혼을 하지 않아도 충분히 삶을 즐길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비혼을 선언하는 20~30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23년 조사에 따르면 미혼 남성의 52%, 미혼 여성의 40%가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했습니다.
이처럼 한국은 세계적인 비혼·동거 증가 추세와 맞물려 있으면서도, 제도적 지원은 아직 뒤따르지 못해 사회적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현실을 안고 있습니다.
결론: 세계와 한국 결혼율 추세가 주는 메시지
세계 혼인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지만, 팬데믹 이후 일부 지역에서는 반등세가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혼인율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세계적 추세보다도 더 빠른 속도로 결혼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개인 선택의 문제라기보다, 경제·주거·일자리·양성평등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된 구조적 변화입니다.
앞으로 한국 사회는 결혼율 하락 → 출산율 저하 → 인구 구조 위기라는 연쇄적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결혼을 장려’하는 정책이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이고, 다양한 가족 형태를 제도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이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요즘 MZ세대 결혼생활의 특징 7가지 — 가치·자유·다양성을 향해 • 행복한 삶을 꿈구며 만들어
최근 한국 사회에서 결혼에 대한 관점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밀레니얼+Z세대)의 결혼관은 부모 세대와 크게 달라요. 결혼을 인생의 필수 코스로 여기지 않고, 가치관·경제적
banguseogpress.com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샌드위치 세대라 불리는 X세대, 그들이 고민과 희망 이야기" (1) | 2025.08.22 |
---|---|
‘로맨스 리세션’ 시대, Z세대는 왜 데이트 비용을 줄이고 있을까? (3) | 2025.08.21 |
"고령사회, 출산율 최저 늙어가는 한국... 세계가 알려주는 지속가능한 해법" (9) | 2025.08.17 |
무화과 나뭇잎 자세의 비밀: 몸이 말하는 숨겨진 심리 신호와 해석법 (8) | 2025.08.13 |
"일본 혼활, 왜 30~40대 한국인에게 기회일까?통계로 본 결혼 트렌드 " (9) | 2025.08.12 |